아이에게 ADHD 증상이 있다면!? ADHD 증상과 치료법 알아보기
자신의 아이가 ADHD의 증상이 있는 것은 부모의 입장으로는 쉽게 파악하기가 힘듭니다. 아이가 태어나고부터 키워왔고 항상 같이 있었기 때문이며, 그 증상이 뒤늦게야 혹은 다른 상황이 되서야 발견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인데요. 집에서는 활발하고 정숙했던 아이가 학교나 유치원에 갈 시기가 되면 초기 ADHD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고 합니다. 특히 신학기에 학교나 유치원 담임 선생님을 통해서 ADHD 의심 통보를 받는 경우 대처해야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ADHD의 경우는 외부 환경이 달라졌을 경우 외적인 요소나 자극으로 부터 영향을 받아 집중력이 저하되는 상황인데요. 이렇게 되면 한가지 일에 몰두할 수 없게 되며 쉬운 일에도 실수를 반복하는 일이 생기기도 합니다. 특히 학교나 유치원에서 진행하는 수업에서 정상적인 집중을 하기 힘들어 할 가능성이 높은데요. 초기 증상에 경우 다른 아이들과 함께 있기 때문에 알아내기 힘든 경우도 있지만, 방치해 둘 경우 증상이 심해지기도 한다고 합니다. 현재까지의 과학적 조사에 따르면 ADHD의 정확한 원인 및 이유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신경물질에 의한 불균형 때문이라는 조사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어린 시절 생겼던 ADHD가 성인 ADHD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기도 하는데요. 유치원이나 학교에서 생긴 ADHD를 방치해 두면 집중을 오랫동안 하기 힘들어 하며, 정상적인 수업에 참여하기 힘들어 한다고 합니다. 또한 아동 ADHD의 경우 수업 중 다른 소리에 의한 주의를 뺏기는 횟수가 늘어나기도 한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 20%에서 30%정도의 ADHD 환자가 성인 ADHD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ADHD의 경우 다양한 케이스가 있기 마련이며, 겉으로 티가 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부모님과 선생님의 적극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자가 진단을 통한 발견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만약 의심된다면 병원에 방문에서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또한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편이 좋은데요. 집중력을 높히는 그림이나 책을 읽고 보드게임 등으로 훈련을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